사회초년생을 위한 재테크 기본기
첫 월급을 받았을 때의 설렘, 기억하시나요? 하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왜 이렇게 돈이 안 모이지?”라는 말이 절로 나오는 시점이 찾아옵니다.
사회초년생에게 재테크의 핵심은 ‘투자’가 아닌 ‘기초 관리’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돈을 모으기 위한 5가지 기본 습관을 소개합니다.
1. ‘수입보다 지출 먼저 분석’하기
재테크의 출발점은 내가 얼마나 버는가가 아니라, 어디에 쓰는가입니다.
매달 빠져나가는 지출을 파악하면, 돈이 안 모이는 원인을 정확히 알 수 있습니다.
- ✔ 고정비: 월세, 통신비, 보험료, 교통비
- ✔ 변동비: 외식, 쇼핑, 여가, 취미
- ✔ 무의식 지출: 간편결제, 배달, 자동결제
가계부 앱, 카드 사용 내역, 은행 앱을 활용해 한 달 지출 내역을 기록해보세요.
2. 통장을 목적별로 나누기
하나의 통장에 월급, 지출, 저축이 다 섞여 있다면 관리가 어렵습니다.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통장을 분리하면, 돈의 흐름이 한눈에 보입니다.
- 💼 급여 수령 통장
- 💸 생활비 통장 (체크카드 연결)
- 💰 저축/비상금 통장 (CMA 또는 정기예금)
자동이체를 활용하면 매달 저축을 먼저 실행하고, 남은 돈으로 생활하는 구조가 됩니다.
3. 월급 분배 비율 정하기
자신의 월급 수준에 맞는 분배 계획을 세워야 지속 가능합니다.
예시: 월급 250만 원 기준
- ✔ 저축: 25% (62.5만 원)
- ✔ 고정지출: 40% (100만 원)
- ✔ 생활비: 30% (75만 원)
- ✔ 여유비/취미: 5% (12.5만 원)
※ 처음부터 무리한 저축은 금방 포기하게 되므로, 현실적인 비율로 시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4. 신용점수와 금융기록 관리
신용카드 사용이 어렵거나 부담스럽다면, 체크카드를 꾸준히 사용해도 신용점수 관리에 도움이 됩니다.
또한, 불필요한 계좌, 오래된 카드, 연체된 통신요금 등은 금융 신뢰도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정리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정기적으로 토스, 나이스지키미, 올크레딧에서 신용점수를 확인해보세요.
5. 돈 공부를 일상화하기
재테크는 단기간에 끝나는 프로젝트가 아니라, 생활습관입니다.
- 📚 유튜브, 블로그, 책 등을 통해 돈의 흐름 이해하기
- 📅 월 1회 자산 점검의 날 정하기
- 📓 재무 목표 수첩 작성: 6개월 목표, 연말 목표
지속적으로 ‘돈 감각’을 기르는 습관이야말로, 가장 강력한 재테크 스킬입니다.
결론
사회초년생 시기는 돈을 크게 불리는 것이 아니라, ‘새는 돈을 막고 습관을 잡는 시기’입니다.
오늘 소개한 5가지 기본기를 천천히 실천해보세요.
재테크는 특별한 기술보다, 반복되는 습관이 만드는 결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