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용어 쉽게 이해하기 (1편: 예적금부터 CMA까지)
“예금이랑 적금은 뭐가 달라?”, “CMA 통장은 또 뭐지?”
금융 상품은 익숙한 듯하면서도 막상 설명하려면 헷갈리기 쉽습니다.
이 글에서는 금융 초보자도 알기 쉽게 예적금, CMA 등 기본 금융 용어를 정리해드립니다.
내 돈을 잘 관리하고 싶다면 가장 먼저 용어부터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예금 vs 적금
두 상품 모두 은행에 돈을 맡기고 이자를 받는 상품이지만, 돈을 넣는 방식과 활용 목적이 다릅니다.
구분 | 예금 | 적금 |
---|---|---|
입금 방식 | 한 번에 목돈을 넣음 | 매달 일정 금액을 나눠 넣음 |
주 이용자 | 여유자금 있는 사람 | 꾸준히 저축하려는 사람 |
중도 해지 시 | 이자 일부 손실 | 이자 대부분 손실 |
이자 지급 | 만기 시 한 번에 | 원리금 합산 지급 |
✔ 예금은 정기예금이라고도 하며, 자금을 묶어 둘 수 있을 때 유리합니다.
✔ 적금은 목돈 마련을 목표로 할 때 적합합니다.
2. 보통예금과 저축예금
- 보통예금: 입출금 자유 계좌. 자동이체, 급여 수령 등 일상용 통장
- 저축예금: 보통예금보다 이자가 다소 높지만, 일부 제한이 있을 수 있음
대부분의 사람들은 보통예금(입출금 통장)을 사용하고 있으며, 특별한 조건이 없다면 저축예금보다 접근성이 높습니다.
3. CMA 계좌란?
CMA는 Cash Management Account의 약자로, 증권사에서 만든 수시입출금형 자산관리 계좌입니다.
주요 특징:
- 입금한 금액에 대해 매일 이자 지급
- 증권사에서 만들며, 주식 계좌와 연결 가능
- 수익률은 예금/적금보다 높거나 비슷
- 수시입출금 가능 → 비상금 계좌로 활용하기 좋음
단, 은행 예금처럼 예금자 보호(5,000만 원 보장)가 안 되는 상품도 있으므로 운용 방식 확인이 중요합니다.
4. 복리 vs 단리
- 단리: 원금에만 이자가 붙는 방식
- 복리: 원금 + 이자에 또 이자가 붙는 방식
장기 저축을 계획하고 있다면 복리 상품이 더 유리할 수 있습니다.
5. 만기일이란?
예금이나 적금의 계약 기간이 끝나는 날짜를 ‘만기일’이라고 합니다. 이 날까지 상품을 유지하면 약속된 이자 전액을 받을 수 있습니다.
중도에 해지하면 이자가 줄어들거나 손실될 수 있기 때문에, 자금 사용 계획을 고려한 가입이 필요합니다.
정리하며
금융 상품은 용어만 조금 익혀도 내 돈을 훨씬 더 똑똑하게 관리할 수 있는 도구가 됩니다.
예적금, CMA, 복리… 처음에는 낯설지만, 기초부터 차근히 알아가면 어려울 게 없습니다.
다음 편에서는 신용, 대출, 금리 등 조금 더 깊이 있는 금융 용어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